최근 서학개미나 동학개미라는 단어가 자주 들립니다. 이 단어들은 무슨 의미이고 어디서 어떻게 나온 단어일까요?
서학개미란?
개미란?
우선 서학이든 동학이든 '개미'라는 공통점이 있네요. 여기서 개미는 '개인 주식 투자자'를 의미합니다.
개인 주식 투자자에게 '개미'라는 별명(?)이 붙은 것은 한 명의 개인 투자자가 주식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개미가 뭉치면 이것도 하나의 영향력이 되기 때문에 최근에는 개미들이 주식을 매수・매도하는 흐름도 하나의 중요한 요소로 취급되기도 합니다.
개미의 반대는 기관 투자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개인들에 비해서 접할 수 있는 정보량이 훨씬 많고 자금 규모도 크기 때문에 개미들에 비해서 영향력이 큰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개인 투자자 중에도 매우 성공적으로 투자를 이어가서 매우 큰 자산을 구축한 개인 투자자들을 슈퍼개미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슈퍼 개미들은 일반 개미들의 선망의 대상으로 유투버 등으로 활동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서학'이란?
'서학'이라는 단어가 등장한 것은 이전에 '동학개미'라는 말이 등장했었고 동학개미와 비교하는 의미로 등장했습니다.
동학개미는 국내 주식에 투자를 하는 개인투자자를 의미합니다. 동학개미 운동이라는 말이 생긴 것은 개미들의 영향력이 강해졌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기도 합니다.
동학개미는 동학 농민 운동에 개인투자자들의 활동을 빗댄 말로 이전에는 외국인들이 매도를 하면 한국 증시가 바로 떨어지던 것과 달리 개인들이 외국인들의 물량을 모두 받아내면서 '동학 개미 운동'이라고 까지 불리게 된 것입니다.
서학개미란 동학개미처럼 혁명이라는 뜻까지 담고 있지는 않습니다. 다만 일반적으로 국내 주식이 아닌 해외 주식 특히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개인투자자들을 서학개미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동학개미'와 서학개미의 차이는?
투자 성향이 개인별로 다양하기 때문에 모든 경우를 일반화할 수는 없지만 동학개미가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 등 한국의 IT 관련 기업에 집중을 하고 있다면 서학개미의 경우 테슬라나 애플 등 미국의 IT 기업을 중심으로 많은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서학개미가 되는 방법은?
서학개미가 되는 방법은 매우 단순합니다. 미국 주식 계좌를 개설하고 미국 주식에 투자를 시작하면 서학개미가 되는 것입니다.
미국 주식 계좌 개설 방법
여기서는 대략의 흐름만 설명하겠습니다. 검색하면 금방 따라할 수 있는 방법들이 많이 나와 있으니 투자를 하시고 싶으시다면 주저하지 말고 우선은 계좌를 개설해보실 것을 추천합니다.
준비물: 스마트폰, 신분증, 은행 계좌(계좌 번호 등)
① 증권회사 주식 어플 다운로드
예: 키움증권
② 계좌 개설 시작
③ 거래 상품 선택
여기서 미국 주식을 선택해 주셔야 합니다.
④ 신분증 촬영
신분증을 촬영해서 업로드합니다.
⑤ 본인 확인
본인 확인은 두 가지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 계좌 선택 시 입력한 계좌로 1원 입금받고 입금자명에 입력된 숫자로 인증하기
- 영상통화로 본인 인증하기
⑥ 계좌 개설 완료
저는 처음에 개설을 할 때 은행까지 가야 했지만 최근에는 정말 간단하게 개설을 할 수 있으니 얼른 개설을 해보실 것을 추천합니다.
※ 다만 투자를 시작하실 때는 충분히 투자 대상에 대해서 고려를 하시길 바랍니다.
같이 읽으면 좋은 글
'미국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센터 리츠】에퀴닉스(EQIX) 주가 분석 및 전망 | 4차 산업 리츠 투자 가치 체크! (0) | 2022.04.18 |
---|---|
【데이터 센터 ETF】SRVR 주가 분석 및 전망 | 데이터 센터 리츠에 투자하는 방법 (0) | 2022.04.18 |
AT&T 스핀오프(Spin-off)란? | AT&T와 WBD의 주가 전망은? (0) | 2022.04.12 |
미국 배당주 순위 2022 | 배당 수익률 기준 (0) | 2022.04.09 |
HST 리츠 주가 전망 | 투자할 가치가 있을까? | Host Hotels & Resorts (0) | 2022.03.31 |
댓글